스케쥴링





스케쥴링 - 사용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정책

스케쥴링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판단하는 기준
  1. 처리량의 최대화 - 주어진 시간 내 얼마나 많은 작업 수행하는가?
  2. 응답시간의 단축 - 사용자에게 얼마나 빨리 응답하는가?
  3. 작업 완료시간의 최소화 - 작업 제출 후 완료까지의 걸리는 시간 최소화
  4. CPU 효율의 최대화 - CPU를 최대한 활용
  5. 공평성 - 공평하게 자원을 사용하는가?
운영체제의 대표적인 스케쥴링 2가지

* 프로세스 스케쥴러 (CPU 스케줄러, 단기 스케줄러)
  • 준비상태에 있는 프로세스 중 어느 프로세스에게 CPU 할당할 지 결정하는 스케쥴러 (빈번)
* 작업 스케줄러 (장기 스케줄러)
  •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어떤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것인지 결정하는 스케쥴러
    -> RAM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프로그램을 모두 RAM으로 로딩 불가하기 때문
스케쥴링의 기준
  • CPU 이용률 
  • 처리량
  • 총 처리시간
  • 대기시간
  • 응답시간
☞ CPU 이용률, 처리량 - 최대화,   총처리시간, 대기시간, 응답시간 - 최소화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[안드로이드 스튜디오 APK] 메모장 Memo 오픈 소스

[C 언어] 하노이 탑 Tower of Hanoi

[Swift] (1) IOS 앱 개발 준비